시대에듀 시대고시기획
아이콘1 이슈&시사상식 ㆍ
 
이슈&시사상식
한달 동안의 이슈가 된 시사, 생활상식, 화제의 인물 등을 한눈에 확인하세요

[찬반토론] 한반도 핵무장론

작성일 :
2016-10-25
   상식오픈캐스트.PNG (249.3K) [0] DATE : 2016-10-25 09:20:07

상식오픈캐스트

평화를 위한 묘수인가, 자멸을 부르는 악수인가
한반도 핵무장론 논란

 지난 9월 9일 북한이 5차 핵실험을 강행했다. 이에 따라 한국도 이제는 핵무장을 해야 한다는 주장이 거세지면서 핵무장 반대 주장과 일대 설전을 치르고 있다. 이에 이번 호에서는 한반도 핵무장론을 둘러싼 찬반 논란에 대해 알아본다.

핵발사

 보수층을 중심으로 “우리도 핵무기가 있어야 한다”는 주장이 본격화한 것은 북한이 2016년 1월 6일 10시 수소탄시험을 시작으로 “4차에 걸친 핵실험을 통해 일반 원자탄 위력의 100배 이르는 수소탄 핵실험에 성공했다”고 선전하면서부터다. 주한미군이 갖고 있다가 철수한 전술핵을 다시 가져와야 한다는 주장이 대두된 것이다. 이후 이들의 주장은 북한 잠수함 발사 탄도미사일 시험발사, 그리고 4차 핵실험 여덟 달 만인 지난 9월 9일 5차 핵실험으로 이어지면서 더욱 강도를 높여가고 있다. 전술핵이란 핵폭탄을 넣은 단거리 미사일이나 재래식 대포, 핵지뢰 같이 비교적 규모가 작은 핵폭탄을 일컫는 것 으로 주한미군은 60년대까지만 해도 이런 전술핵을 1,000기 가 까이 한국에 배치하고 있었다. 그러나 90년대 초 ‘남북 비핵 화 공동선언’으로 1992년 모두 철수했다.


 그런데 올해 북한의 3차 핵실험 이후 미국의 ‘비확산’ 언급이 ‘비핵화 포기’로 해석되면서 “미국이 북한의 핵 보유를 인정 한 만큼 안보를 위해 북한에 비대칭 전력상 열세에 있는 군사력을 핵무기 보유로 극복하자”는 것을 골자로 하는 주장이 여권을 중심으로 거세졌다. 여기에 공영방송인 KBS는 아예 서울 한복판에 핵이 터졌을 경우

 얼마나 많은 사람이 죽고 부상 하며 방사능 낙진에 피폭되는지를 영화를 통해 보여줌으로써 사실상 핵 무장론을 거들기까지 했다. 그 결과 한국의 핵무기 보유에 찬성하는 의견이 58%로 반대 34%를 압도(한국갤럽 조사결과)하기에 이르렀다

 하지만 현재 대한민국은 1991년 비핵화 선언을 했으며, NPT(핵확산금지조약) 가입국이다. 미·일·중·러 등 한반도 주변 강대국들 또한 우리의 핵무장에 명백히 반대하고있 다. 이렇듯 한국이 독자적으로 핵무장을 하는 것이 사실상 불가능한 현실에서 평화와 자위권을 위해서라도 핵이 필요하다는 주장과 핵은 근본적으로 평화에 위배된다는 주장의 대결은 핵실험을 이어가고 있는 북한의 태도가 변하지 않는 이상 계속될 것으로 보인다.



핵그래프

한반도
핵무장 찬성

“군사적 균형을 위해 필요하
며,미국의 핵우산을 신뢰할 수
만은 없다”

북한이 잠수함 발사 탄도미사일 개발에 있어 사실상 실전 배치 단계만 남았다는 평가가 유력하게 제기됨에 따라 미국의 핵우산에만 안주할 것이 아니라 이에 맞서 우리도 한발 더 나아가야 한다.

핵우산(Nuclear Umbrella)은 “핵이 없는 동맹국이 핵 공격을 받으면 핵을 보유한 동맹국이 대신 보복한다”는 외교적 약속이다. 하지만 핵우산은 보복일 뿐이어서 방어가 시급한 우리의 상황과 맞지 않다.

여기에 미국 공화당 대선후보 도널드 트럼프가 한국과 일본의 핵무장 용인, 주한미군 철수, 한반도 전쟁 불개입 등의 발언을 함에 따라 더 이상 미국을 믿을 수 없게 되었고, 따라서 스스로 자구책을 마련해야 하며, 그 최선책 은 바로 핵이다.

원유철 새누리당 전 원내대표도 국회에서 열린 긴급 간담회에서 “평화를 수호하기 위한 자위권 차원에서 핵무장을 포함한 핵 억제 수단을 강구해서 안위를 지켜야 하는 절박한 상황에 내몰렸다” 면서 “단기적으로는 미국의 전술핵을 재배치하고 장기적으로는 독자적인 핵무기를 최소한 북한의 2배 이상 규모로 개발해야 한다”고 했다.

한반도
핵무장 반대

“자멸로 가는 지름길이며,
국제적·외교적으로 큰 타격
을 입게 된다”

핵무기의 결정적 약점은 자위권 차원의 선제적 사용이 불가능에 가깝다는 점이다. 즉, 핵은 방어가 아닌, 보복수단일 뿐이며 북한의 핵 공격을 핵으로 응수하겠다는 것은 함께 죽자는 것과 다르지 않다.

또한 북한이 ‘한국을 핵무기로 공격해서 국가로서의 대한민국을 파멸시키려 한다’는 것은 잘못된 상식이다. 북한에게는 핵을 무기로 미국과 통 큰 협상을 시도하겠다는 외교적 계산이 있을 뿐이다.

핵무장은 외교적으로도 큰 위기를 불러올 것이다. 자체 적 핵무장은 NPT 탈퇴로 이어진다. 이는 국제사회의 제재와 규탄으로 이어질 것이다. 더불어 현재 미국은 중국과의 전선을 일본에 일임하려는 경향이 강하다. 따라서 우리의 핵무장은 미국의 묵인 하에 자연스럽게 일본의 핵무장으로 이어질 것이며, 이는 한미동맹의 파국을 의미한다.

윤관석 더민주 수석대변인도 핵무장론은 한반도 긴장 관리에 실패한 정부의 무능을 숨기기 위한 책임한 선동이며, “한반도를 더 큰 위험과 불안 속으로 밀어 넣을 뿐”이 라고 비판했다.

“눈에는 눈, 이에는 이,
핵에는 핵으로 맞서야 한다”

• 북한과 군사적으로 균형을 맞춰야 한다.

• 자위권 차원에서 북한 핵을 억제하기 위한 수단으로
전술핵을 재배치해야 한다.

• 우방국만을 믿을 수 만은 없다.

“시대착오적인 핵무장론,
핵 배치하면 북한처럼 취급될 것이다”

• 공멸을 바라는 것이 아니라면 핵은 필요 없다.

• 국제사회의 제재와 규탄의 대상이 된다.

• 전범국 일본에게 또다시 칼을 안겨주게 된다.

• 전시작전 통제권도 없는 상황에서 무의미한 주장이다.